무심코 지나쳤던 전봇대에 적혀있는 '이것' 도대체 뭘까요?
을 지나다니면 마치 공기처럼 가까이에 있는 것이 바로 '전봇대'입니다. 항상 우리 가까이에 전봇대가 있기 때문에 신경 쓰지 않는 분들이 대부분일 텐데요. 전봇대를 자세히 살펴보면 "그냥 지나쳤던 전봇대에 숨겨진 놀라운 비밀"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내용을 소개합니다.
전봇대의 개수는 몇개일까?
한국전력공사의 답변을 기준으로 국내에 설치된 전봇대의 개수는 2015년 10월 기준으로 무려 8,939,522개입니다. 대부분의 전봇대가 콘크리트형 전봇대로 8,579,000개이며 나머지는 기타 강관주, 목주, 철주 등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봇대 설치 간격
한국전력공사의 답변을 빌리자면 전봇대는 설치 간격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상가 및 번화가가 있는 도심지의 경우는 30m이고 도시지역은 40m의 설치 간격을 두고 있으며 촌락 지역은 50m 야외 지역은 70m의 설치 간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설치 간격은 지지물의 강도, 전선의 지상고, 전기사용 부하의 밀도, 토지 상황 등을 고려해서 결정된다고 합니다.
전봇대에 적혀있는 '이것' 도대체 무엇일까
전봇대 위쪽을 자세히 보시면 한국전력공사에서 붙여놓은 '전주번호찰'이 있습니다. 전봇대의 숨겨진 비밀인데요. 이 표시는 경도와 위도를 포함한 지리정보와 선로 명칭 등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 정보는 해당 위치를 알려주는 표식으로 비상시에 현재 위치를 외부에 알릴 중요한 수단이 됩니다.
위급한 상황일 때 위치를 설명할 길이 없다면..?
도움이 필요한 다급한 상황에 빠졌을 때 이렇다 할 건물이나 설명할 수단이 없다면 '전봇대'를 찾아주세요. 전봇대에 표식 된 '전주번호찰' 숫자를 알려주면 정확하게 위치를 알릴 수 있습니다. 119 구조를 요청할 때도 매우 요긴합니다. '전주번호찰'로 위치를 설명할 때 '관리 구 번호+전산화 번호' 8자를 불러주면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 34세 미만이면 1억을 만들어 주는 계좌 신청 알아보기
▶ 월 20만 원 공짜로 받을 수 있는 청년 월세 특별 지원 신청 방법 알아보기
▶ "2023년 최저임금 이렇게 올랐어요" 최저임금 인상 소식 바로보기
▶ "차 확인해보세요. 암을 유발하는 증후군에 걸릴 수 있습니다" 새 차 냄새 제거 방법
▶ "나도 모르게 결제된 금액을 모두 차단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바꾸는 방법
모르면 손해 보는 유용한 정보를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클릭 📌
✅ 밑의 ❤ 공감 버튼을 누르면 작성자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